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구황작물 뜻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by 건강상식이 2021. 7. 31.
반응형

옛날이나 지금이나 구황작물은 정말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식재료입니다. 그중 고구마, 감자는 예로부터 날씨가 좋지 않아도 수확이 잘 돼서 흉년에 밥 대신 먹었지만 요즘에는 다이어트 식단 및 여러 가지 가공 제품으로 다양하게 출시가 되어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구황작물은 그 종류와 뜻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있어 오늘은 구황작물 뜻, 구황작물 종류에 대해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구황작물 뜻

구황작물은 비황작물이라고도 부르며 생산량이 기후조건에 영향을 적게 받아야 하므로 생육기간이 짧아야 하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야 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조선시대에서도 일찍부터 구황작물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각종 농서에 구황 법을 제시하였다고 하며 특히 고구마와 감자의 전래와 보급은 흉년에 대처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구황작물-뜻
구황작물 뜻

구황작물 종류

구황작물로 취급되는 것으로는 조, 피, 기장, 메밀, 감자, 고구마, 옥수수, 콩, 순무, 토란, 칡  등이 있으며 보리도 구황작물의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대표적인 구황작물 3가지

1. 감자 : 사계절 내내 먹을 수 있는 감자는 고구마보다 칼로리가 낮고 단 맛이 적어 식사 대용이나 밥 반찬으로 만들어 먹기 좋습니다. 감자의 뛰어난 효능은 비타민이 풍부하다는 점인데 티아민이라 불리는 비타민 B1이 사과보다 10배나 풍부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길러주는데 효과적이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유기적인 대사작용을 돕습니다. 각종 조림, 구이, 찌개 등의 요리에 두루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고구마 : 고구마는 대부분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녹말이 20%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도 과당, 포도당이 함량이 높아 맛이 달며 칼륨과 칼슘 성분도 풍부합니다. 또한 식이섬유도 풍부해 변비 개선에 좋으며 포만감이 커서 다이어트하시는 분들이 즐겨 먹는 음식 중 하나입니다.

 

3. 옥수수 : 밀, 벼와 함께 세계 3대 식량 작물 중 하나인 옥수수는 젼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이용되는 식재료로 국내에서 재배되고 유통되는 옥수수는 크게 찰옥수수, 단옥수수, 초당옥수수, 튀김옥수수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옥수수는 수분 외에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과 무기질,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으며 옥수수의 씨눈에는 필수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풍부해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동맥경화 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구황작물-종류
구황작물 종류

지금까지 구황작물 뜻, 구황작물 종류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구황작물은 예전에도 소중했고 현재에도 없어서는 안 될 식재료 중 하나이지만 요즘같이 지구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폭염과 기후변화가 점점 더 심해지는 상황에서 앞으로의 미래에도 정말 우리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먹거리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구황작물 뜻, 구황작물 종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상식] - 옥수수 효능 및 부작용

 

옥수수 효능 및 부작용

옥수수 효능 및 부작용 옥수수는 옥수수꽃, 옥수수잎, 옥수수줄기를 비롯해 옥수수뿌리인 수염까지 버릴 것이 하나도 없는 아주 소중한 작물입니다. 또한 옥수수는 여름이 제철인 초당옥수수를

haedas100.tistory.com

[건강상식] - 돼지감자차 효능 부작용 먹는 방법

 

돼지감자차 효능 부작용 먹는 방법

돼지감자차 효능 과거에 비해 현대인들은 성인병의 위협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바로 잘못된 식습관이 가장 큰 문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성인병 중 하나인 당뇨병은 나이가

haedas100.tistory.com

[건강상식] - 메밀 효능 및 부작용 먹는 방법

 

메밀 효능 및 부작용 먹는 방법

메밀은 국수, 냉면, 묵, 만두, 전병 등 다양한 음식의 식재료로 사용되며 혈관 등 순환기 계통의 기능을 높이는 효능으로 인해 약재로도 활동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본래 함경도에서 주

haedas100.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