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기립성 저혈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by 건강상식이 2021. 2. 24.
반응형

기립성 저혈압

기립성 저혈압

누구나 한 번쯤은 의자에 앉아 있거나 바닥에 쪼그려 앉아 있다가 일어나는 순간 머리가 핑~ 돌면서 어지러움을 느끼신 적이 있을 것인데요. 바로 기립성 저혈압 때문에 이런 증상들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증상이 있다고 해서 모두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반복적으로 나타나거나 실신으로까지 이어진다면 치료를 고려해봐야 된다고 하네요.

 

젊은 여성분들 사이에 특히나 많이 찾아볼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해질 경우에는 어지러움으로 인해 몸의 군형을 잡지 못해 실신하게 되면 아무래도 외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오늘은 기립성 저혈압에 대해 원인과 증상 치료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립성 저혈압 원인

기립성 저혈압 원인

기립성 저혈압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최근 5년 사이 50%가량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빈번하게 나타나는데 50세 미만에는 5% 정도 나타나지만 70세 이상에는 30% 까지 보고 되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에는 다양한 원인과 기저질환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일어설 때 혈압을 유지해주는 자율신경계의 문제라고 합니다. 사람이 일어설 때 보통 500~1000cc의 혈류가 복부나 하지정맥으로 이동하면서 일시적으로 심장으로 돌아오는 정맥량이 줄어 혈압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갑자기 일어나더라도 몸의 자율신경계가 적절하게 반응하여 혈압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되지만 반대로 자율신경계에 이상이 생겨 혈류량을 조절하지 못하면 일어날 때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당뇨병, 알코올 중독증, 류마티스 질환과 같이 만성질환에 의해 나타나기도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 증상

기립성 저혈압 증상

기립성 저혈압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빠르게 일어설 때 눈앞이 흐려지고 핑~ 도는듯한 어지러움이 느껴지는 것인데 다시 누우면 곧 가라앉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두통, 뒷목의 통증 및 뻣뻣함, 소화불량, 현기, 전신 무력감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앞서 말한바와 같이 실신하여 의식을 잃을 수도 있고 어지러움으로 넘어져 큰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 진단

기립성 저혈압 진단

기립성 저혈압의 진단 방법으로는 기립성 혈압검사와 기립경 테이블검사가 있습니다.

 

기립성 협압검사는 누운 상태에서 안정된 혈압을 측정한 후 즉시 일어나게 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검사

 

기립경 테이블검사는 테이블에 누운 상태에서 천천히 일으켜 올리면서 맥박과 혈압의 변화를 검사

 

기립성 저혈압 치료

기립성 저혈압 치료

기립성 저혈압 치료 방법으로는 증상이 있다고 모두 치료하지 않고 우선 비약물성 치료로 생활습관 교정이 중요합니다. 하루 2L 정도 충분한 수분 섭취와 적절한 염분 섭취가 필요하며 침대에서 일어날 때에는 바로 일어나지 않고 몇 분간 앉아 있다가 천천히 일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실내 자전거처럼 하지 근육 수축을 증가시키는 운동이 정맥 환류량을 늘려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기립성 저혈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평소 생활습관을 고쳐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네요.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