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홀름 증후군
스톡홀름 증후군이라고 들어 보셨나요? 스톡홀름 증후군을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심리적으로 공감하거나 연민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현상으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례로는 데이트 폭력, 가정 폭력 등이 있습니다.
데이트 폭력은 연인 관계에서 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의 50%는 쉽게 관계를 정리하지 못하고 폭력이 잦을수록 연인의 애정 표현에서 더 큰 사랑을 느끼기 때문이라 하며 가정 폭력은 부모의 학대를 받은 아이는 낮은 자존감을 부모에 대한 비이성적 애착 혹은 동일시로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에 스톡홀름 증후군을 보일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스톡홀름 증후군에 대해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스톡홀름 증후군 뜻
스톡홀름 증후군은 자신보다 큰 힘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목숨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가해자에게 심리적으로 공감하거나 연민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유괴나 납치 상황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지칭하지만 가정 폭력, 데이트 폭력 등의 대인관계계 상황에서도 나타납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주로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에게 간헐적으로 괴롭히고, 위협하는 상황에서 두 사람 간에 정서적 유대가 형성되는 경우에 폭넓게 쓰입니다.
스톡홀름 증후군 유래
1973년 스웨덴 스톡홀름의 크레디트반켄 은행에 2인조 강도가 침입하였다. 강도들은 직원 네 명을 인질로 잡고 경찰과 대치하였고 강도와 인질들은 6일 동안 함께 지내면서 정서적인 애착관계로 발전하였다. 직원들은 강도들이 자신들의 목숨을 해치지 않은 것에 고마움을 느꼈고 심지어 인질 상태에서 풀려나면서 강도들과 포옹하고 키스까지 하였다. 재판이 열렸을 때에는 인질범들에게 불리한 증언까지 거부하였다. 여기서 나온 말이 스톡홀름 증후군이며 인질이 범인에게 연민을 느끼거나 동조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범죄심리학 용어이다.
스톡홀름 증후군 증상
1. 가해자에 대한 존경심을 보인다.
2. 구조 시도를 거부한다.
3. 가해자를 옹호한다.
4. 가해자를 기쁘게 하고자 노력한다.
5. 가해자에게 불리한 증언을 회피한다.
6. 가해자에게서 도망치는 것을 거부한다.
스톡홀름 증후군에 대해 개인의 기질이나 성격 특징 만으로 설명하기 쉽지 않으며 가해자와 피해자가 형성하는 관계 및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심리학뿐만 아니라 협상 연구, 분쟁 연구, 가족 연구 등 다학제적 접근이 필수적인 현상입니다.
지금까지 스톡홀름 증후군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은 극단적인 상황에서 자신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 기제의 일환으로 생존 본능 때문에 나타난다고 생각하며 어떤 경우라도 폭력 및 범죄는 단절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네요.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별 명언 글귀 모음 12가지 (2) | 2021.03.08 |
---|---|
메타버스 뜻 관련주 영화 (1) | 2021.03.07 |
MZ세대 뜻 특징을 알아 보자 (1) | 2021.03.03 |
파이어족 뜻 조기은퇴 욜로족 차이 (3) | 2021.02.24 |
프리터족 뜻 "알바도 직업이다" (7) | 2021.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