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밝은 곳을 바라보는데 눈앞에 날파리 같은 것이 보인적이 있으신가요? 이럴 경우 비문증을 의심해 봐야 하는데 비문증은 눈이 느끼는 증상의 일종이지 그 자체가 질병을 뜻하지는 않다는 다고 하네요. 하지만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는 비문증은 안질환이 원인일 경우 안 좋은 상황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 오늘은 이 비문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문증이란?
비문증은 눈앞에 먼지나 벌레 같은 뭔가가 떠다니는 것처럼 느끼는 증상이다.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 날파리증이라고도 한다. 엄밀히 말해 비문증은 눈이 느끼는 증상의 일종이지 이 자체가 질병을 뜻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비문증은 40대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며 50~60대에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노화에 의한 유리체(유리체는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는 무색투명한 젤리 모양의 조직)의 변성에 의해 생긴다.
비문증 원인
비문증은 특별한 원인이 없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데 나이가 많을수록 발생하기 쉽다. 40세가 지나면 유리체의 액화현상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80~90대가 되면 유리체의 대부분이 액체로 변한다. 젤리 모양의 유리체가 액체로 변하면서 남은 젤리 부분은 점차로 수축하게 되고 섬유질의 밀도는 부분적으로 높아지게 되는데 이것이 경미한 혼탁을 유발하여 망막에 그림자가 지게 되고 이 그림자가 실 모양, 벌레 모양 등으로 시야에 보이는 것이다. 근시가 심할 경우 젊은 사람이라도 이러한 변화가 빨리 나타날 수 있으며 백내장 수술, 당뇨망막병증, 후유리체 박리, 망막 혈관의 파열에 의한 유리체 출혈, 포도막염, 망막 정맥 폐쇄, 고혈압 망막증 등의 망막 혈관 질환, 망막 열공 등에 의해서 비문증이 나타날 수도 있다.
비문증 증상
비문증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눈 속에 부유물질이 보이는 것으로 숫자도 여러개일 수 있으며 갖가지 형태로 변할 수도 있다. 날파리증이라는 이름 그대로 작은 벌레 모양, 실오라기나 아지랑이, 점 모양으로 시야에 보이며 때로는 눈을 감아도 보일 수 있다. 시선의 중심에 있는 경우도 있고 조금 옆에 위치할 수도 있다. 비문증은 한번 생기면 계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혼탁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증상이 호전될 수도 있다. 비문증 증상과 비슷한 것으로 번갯불 현상이 있는데 유리체가 수축하면서 망막을 당기면 눈 속에서 불이 번쩍하는 느낌을 받는다. 수주~수개월 정도 없어졌다가 다시 생기기도 하는데 눈 속에 번갯불이 번쩍이는 증상은 편두통이 있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비문증 치료
비문증의 가장 좋은 해결 방법으로는 안과 의사의 검진을 통해 그 현상이 단순간 비문증이라는 것을 확인한 후 그 물체를 무시하고 잊어 버리는 것이다. 떠다니는 물체의 숫자나 크기에 여러 달 동안 변화가 없다면 수술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갑자기 개수가 늘어나거나 눈앞에 무언가가 가려지는 듯한 증상이 느껴지면 병적인 비문증으로 진행하는 초기 단계일 수 있으니 이러한 경우 안과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생리적 비문증이 간혹 병적 비문증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특히 심한 근시, 백내장 수술 후, 망막박리를 앓은 적이 있거나 가족 중에 망막박리를 경험한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자주 관찰을 해야 한다.
오늘은 비문증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푸 no poo 후기 효과 장단점 탈모 (0) | 2021.01.30 |
---|---|
뚜렛 증후군 틱장애 원인 증상 치료 (0) | 2021.01.29 |
메니에르병 어지러움 원인 증상 치료 (0) | 2021.01.27 |
아스퍼거 증후군 원인 증상 치료 (0) | 2021.01.26 |
쿠싱증후군 원인 증상 치료 강아지 쿠싱증후군 (0) | 2021.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