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섬망 섬망증 섬망증세 원인 증상 치료

by 건강상식이 2021. 1. 31.
반응형

노인이나 암환자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섬망 또는 섬망증에 대해서 들어 보셨나요? 한마디로 쉽게 말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정신적 혼란 증상이라고 정의하는데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하면 완치될 수 있는 질환이라고 하네요. 현재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들에게도 나타나는 섬망 대해 원인과 증상 치료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섬망 섬망증

섬망 섬망증이란?

섬망 또는 섬망증이라고 부르는 이 질환은 의식과 지남력의 기복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섬망은 혼돈과 비슷하지만 과다행동과 생생한 환각, 초조함, 떨림 등이 자주 나타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갑자기 발생한다. 치매와 섬망의 증상이 비슷하여 오해 할 수도 있지만 가장 뚜렷한 차이점은 지속성이다. 섬망의 경우 증상이 수일 이내에 급격히 발생하며 원인이 교정되면 수일 이내에 호전되지만 이에 비해 치매는 수개월에 걸쳐 증상이 생기며 증상의 심각성도 비교적 큰 변동 없이 일정한 편이다.

섬망 섬망증 섬망증세

섬망 섬망증 원인

섬망 섬망증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병원 입원 환자중 10~15%가 경험을 하며 수술 후 또는 노인에게 흔하게 나타난다. 기본적으로 신체상태에 의한 신경-정신의학적 상태로서 취약성이 있는 환자에게 신체 질환이나 약물 중독 등이 동반되면 발생하게 되는데 흔한 원인으로는 중추신경계 질환, 전신 질환, 전해질 불균형, 감염, 약물, 술 등이 있다. 소아의 경우 감염, 발열, 약물 중독, 외상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으며 청소년의 경우 정신활성물질 중독과 금단, 외상, 감염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청장년의 경우 알코올 중독과 금단, 대사성 질환, 심혈관 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노인의 경우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에서 섬망이 생길 수 있다. 

섬망 섬망증 섬망증세 섬망증상

섬망 섬망증 증상

섬망 섬망증의 증상으로는 수면 장애(주로 밤에 불면증), 환시(시각영역에 나타나는 환각의 일종), 지남력 저하(날짜 개념이 없어진다), 의식 장애, 집중력 저하, 사고 장애(비논리적 사고, 피해망상, 의심 등), 정신 운동 장애(과다 각성, 초조, 과민성, 산만함, 각성 저하, 혼동, 진정), 공격적 충동적인 행동, 증상의 변동(증상은 하루 중에도 변동이 심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섬망 섬망증 섬망증세 섬망증상 섬망 원인 치료

섬망 섬망증 치료

섬망 섬망증의 일차 치료는 원인을 제거하거나 치료하는 것이고 그 외 비약물적 치료와 약물적 치료가 있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시계, 달력 등을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하게 하여 지남력을 확인시키고 과도한 감각 자극을 피한다. 환자에게 친숙한 물건을 곁에 두도록 하고 낮에 활동을 격려하고 저녁에 잠을 자도록 하여 수면 주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환시와 같은 정신병적 증상과 불면을 조절하기 위해 약물치료를 한다.

 

오늘은 섬망 또는 섬망증이라고 불리는 질환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