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편집성 인격장애 성격장애 진단 증상 치료

by 건강상식이 2021. 2. 8.
반응형

편집성 인격장애 원인

성격은 누구나 가지는 그 사람의 특징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성격장애는 성격적인 경향과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성격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이 큰 어려움이 반복된다면 성격장애를 고려해봐야 된다고 합니다. 오늘 말씀드릴 편집성 인격장애는 아마 주변에서도 한 두 명 정도는 볼 수 있는 그런 질병이라고 생각합니다. 편집성 인격장애의 특징으로는 자신이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편이라고 생각을 하고 주변으로부터 자신이 피해를 받는다고 느낀다고 하는데 오늘은 편집성 인격장애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편집성 인격장애 증상

편집성 인격장애란?

편집성 인격장애란 항상 타인이 자신에게 피해를 주지 않았음에도 타인이 악의를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근거도 없이 오해하거나 의심하는 증세이다. 망상성 성격장애라고 불리도 하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더욱 방어적이고 냉정한 태도를 취한다. 현실 사회에서 자신과 사회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성격 이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인구의 약 1.5%에서 나타나며 통계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유병률이 조금 더 높다고 알려져 있다.

 

편집성 인격장애 진단

편집성 인격장애 진단

다음 중 4가지에 해당할 때 편집성 인격장애를 고려할 수 있다.

 

1. 충분한 근거 없이 다른 사람이 자신을 관찰하고 해를 끼친다고 의심.

2. 친구들이나 동료들의 충정이나 신뢰에 대한 의심.

3. 다른 사람에 대한 의심으로 비밀을 털어놓는데 두려움을 느낌.

4. 악의 없는 말이나 사건에 대하여 위협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

5. 지속적으로 원한을 가짐.(적절한 비판을 모욕이나 경멸로 해석)

6. 자신을 공격당했다고 지각하는 일이 잦고 이에 대하여 화를 내거나 반격함.

7. 정당한 이유 없이 애인이나 배우자에 대하여 의심함.

편집성 인격장애 치료

편집성 인격장애 치료

무엇보다 환자가 치료의 필요함을 받아들이고 병원으로 가게 하는 것이 가장 힘든 문제이다.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의심과 불신 때문에 스스로 치료를 받으려고 하지 않는다. 치료의 핵심은 도움을 받는데 걸림돌이 되는 불신과 의심을 어떻게 융통성 있게 다루어 줄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편집성 인격장애란

지금까지 편집성 인격장애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자신을 한번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낍니다. 평소에는 아무 문제없다고 생각되는 것들이 어쩌면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 말입니다. 뉴스를 보면 이런저런 사고들로 인해 요즘 같은 시대에 누구 하나 제대로 믿기 어려운 사회에서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것 또한 이상하다고 생각 들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주변 소중한 분들에게 피해를 가는 것은 막아야 되지 않을까 생각 드네요. 지금까지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